나는 ICU 박사다


갑작스레 검색순위 상위에 오른 ICU.
1997년 12월, 당시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졸업예정자였던 내가 3대 주요 일간지 아래의
커다란 광고를 보고, 주위의 몇몇 교수님과 지인들을 통해서 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1998년 학교 설립 1기로 석사과정에 입학해서
2000년에 박사입학을 하고,
2005년에 자랑스레 박사 학위를 받아들고 나온 곳이다.

내 박사 학위증에 보면,
제일 첫번째 싸인이 당시 정통부 장관이었던 진대제 이사장,
두번째 싸인이 허운나 총장,
세번째가 지금 ETRI 원장이신 최문기 교학처장,
네번째가 당시 공학부장이었던 한영남 교수님 싸인까지 나와있다.

박사 학위증

학위증 싸인이 왼쪽부터 진대제 이사장(정통부장관), 허운나 총장, 최문기 교학처장, 한영남 공학부장


학교의 통합 이야기가 일이년의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최근의 상황들을 살펴 볼 때 마음이 편치 못하다.
KAIST, 참 좋은 학교이다. 여전히 이 학교 동문이기도 하고.
ICU, 이 역시 KAIST에 전혀 밀리지 않을 참 좋은 학교이다.

내가 KAIST 다닐 시절에 KAIST가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았었다.
25년 기념식을 하는 그런 시점으로 기억하는데,
KAIST, KIT, 과학원, 과기원, 한국과학기술원, 과기대….
이름도 가지가지로 불러서 서로 다른 학교로 오인하기 일쑤였고,
대학 1학년때 부산에 있는 한 볼링장에서 KAIST 학사과정 학생증 내고 할인 받으려다가
대학생 아니라고 할인 안해준다고 하는 적도 있었고,
무궁화호 기차 할인도 학생증만으로 안해주는 곳이 많아서 학교에서 학생할인을 위한 증서 같은걸
따로 떼어서 갔었다.
당시 고향인 부산의 당구장에 갔다가 아주머니가
거기 4년제냐? 지방이면 어떠냐 4년제만 갔으면 효도한거지~
라는 이야기도 들었었다.
결국 KAIST라는 드라마 한편으로 대중에게 제대로 각인이 되어서 오늘에 이르렀다.
그에 비하면, ICU는 10년이라는 역사로 꽤 많이 대중에게 호소를 했다. (여전히 모르는 사람이 더 많긴 하지만)

신정아는 가짜 박사 학위로 온 나라를 저렇게 술렁이게 만들고 있는데,
나는 진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어디서? ICU에서.
그런데, 나중에 누가 내 학위증을 보고 ‘어~ ICU라는 곳도 있냐? 가짜 아냐?’
이렇게 말하면.. 어떤 기분일까?

정통부 장관이 되려면, 몇년 전부터 ICU를 없애야 한다고,
처음부터 잘못된 길을 걸어왔다고 계속하여 주장해오던 김영선 의원 앞에서
인사 청문회를 거쳐야 장관이 될 수 있다.
기사화된 것을 보면
정통부 장관이 당연히 ICU 이사장을 맡는 문제에 대해서도 김의원이 질문을 했고,
ICU가 김영선 의원을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도 의견을 물었더라.
사건의 당사자인 의원 앞에서 청문회를 통과해야 정통부 장관이 될 수 있다니..
한 학교의 운명이 정치인들에 의해서 놀아나는 모습이 참 역겹다.

아무쪼록 싸움이 아닌, 대의를 위한 좋은 결정이 나길…

난 자랑스런 ICU의 공학박사이다.

You may also like...

7 Responses

  1. 지나가다가 says:

    잘 보고 갑니다~^^;

  2. 페르난 says:

    뭔가 씁쓸하죠. “지방이면 어떠냐” .. 카이스트, ICU, 포스텍을 서울의 대학들과 비교하는 것 자체가 참 웃긴 일이죠. 아무리 서울대가 명성이 자자하지만 실질적으로 인재들이 모이는 곳은 대전과 포항인데 말이죠. 그냥 왠지 이공계를 등한시하는 사회가 좀 아쉽네요.

    • 파파존스 says:

      이공계..
      회사에서도 일 제일 많이 하면서도
      제일 대접 받지 못하는 부서인 것 같고,
      국가적으로도 그런 듯 하여 씁쓸합니다

  3. EXIFEEDI says:

    ICU가 최근처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적은 없는 것 같네요.
    설립부터 애매한 상황에서 시작된 것이 문제이지 학생들에게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다만, 최근 ICU 재학생들이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올린 글을 보면
    객관적인 시각을 배제한 채 자신들만의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는 것 같아 가슴이 아픕니다.
    자신들의 상황이 힘들고 답답한 것은 사실이나, 감정에만 호소해서는 문제를 그르치기만 하죠.
    아무튼 사태가 잘 마무리되었으면 하네요.

  1. 2007.10.11

    이번 카이스트-ICU 통합건은 많은 이슈를 낳고 있다. 안 그래도 재수강 제한, 등록금 등 많은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KAIST 개혁안인데, ICU와의 통합 문제마저 이렇게 터져버리다니. 학교 인터넷 게시판도 지금 뜨겁게 가열되고 있다. 찬- 반을 떠나서, 객관적으로 봤을때 꽤 괜찮은 글이 하나 있길래 이렇게 올려본다. 아래는 퍼온 글입니다. 원저자를 찾지 못했습니다.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ICU에서는 카이스트 학생이 납득할만한 충분한 조건..

  2. 2007.10.12

    최근 ICU의 존폐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개인적으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고, 외부인의 입장에서 현 사태가 도대체 어떤 문제점을 안고 시작했으며 무엇이 현안인지 알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언론 검색을 통해 나름대로 ICU의 현재와 과거에 대해 정리하였다. [ 알립니다 ] 본 내용이 현재 ICU의 현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작성한 것이며, 혹시 잘못된 정보나..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